자바의 연산자
2022. 8. 16. 10:51ㆍJava 프로그램
728x90
연산은 데이터를 처리하여 결과를 산출하는 것 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.

public class Operator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int a = 10;
int b = 20;
String s = "Hello ";
String s2 = "Java";
boolean c = true;
boolean d = false;
System.out.println("+ 산술연산자: a+b = " +(a+b));
System.out.println("- 산술연산자: a+b = " +(a-b));
System.out.println("* 산술연산자: a+b = " +(a*b));
System.out.println("/ 산술연산자: a+b = " +(a/b));
System.out.println("% 산술연산자: a+b = " +(a%b));
System.out.println("+,-의 부호연산자: " + (-a)+" " + (+b));
System.out.println("문자열의 + 연산자: " + s+s2);
a+=b;
System.out.println("대입연산자 : a+=b --->" + a);
System.out.println("boolean: " + (a==b));
a++;
System.out.println("증감연산자 ++ :" + a);
}
}

이와같이 연산자는 데이터들의 처리 및 새로운 결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꼭 필요한 시스템입니다.
(%: 나머지 계산)
문자열 연산자는 시작이 문자열로 시작하게 된다면 숫자도 문자열처리로 되어 문자열 결합이 되는 점을 유의 해야합니다.
public class Operator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int a = 10;
int b = 20;
String s = "Hello ";
String s2 = "Java";
System.out.println(a+b+s+s2);
System.out.println(s+s2+a+b);
}
}

정수 데이터인 a와 b를 앞쪽에서 더한 후 문자열 데이터인 s1과 s2를 +연산자로 연산했을때는 정수데이터인 a와b가 연산되어 30이란 결과가 문자열 데이터인 s와 s2와 결합이 된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반대로 문자열 데이터인 s+s2가 앞쪽에서 먼저 나오게 되면 뒤에있는 정수데이터 a,b는 문자로써 인식 되어 연산이 아닌
결합이라고 할 수 있는 결과가 나옵니다.
삼항연산자
조건식을 아직 배우지 않았지만 조건식 if의 축약어라고 생각합니다. 삼항연산자는 if문을 다룰때 배우겠습니다.
감사합니다.
반응형
'Java 프로그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문자열 : String (0) | 2022.08.18 |
---|---|
반복문(for, do-while, while)2 +(break, continue) (0) | 2022.08.17 |
반복문(for, do-while, while) (0) | 2022.08.17 |
조건문 of 제어문 (if, switch) (0) | 2022.08.16 |
자바의 시작: 변수와 타입 및 escape문자 (0) | 2022.08.10 |